건강

롯데 롯데그룹의 비상飛上

ProGreen 2025. 1. 5. 11:52
728x90
반응형

요즘 국내 굴지의 기업 롯데그룹 이야기가 자주 들립니다. 국내적으로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것을 보면 롯데 이야기도positive한 소식보다는 그렇지 않은 소식이 많은 듯 해서 찾아 보았습니다.

 물론 세계경제의 흐름상 롯데그룹만의 이야기가 아닌 이미 국내 굴지의 기업들은 군살빼기 작업에 들어가거나 수행중에 있음을 확인 할 수가 있었습니다. 참고기사 헤럴드경제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382214?ref=naver 

이러한 상황에서 롯데그룹의 상황을 들여다 보았습니다.

 

 

 

롯데 그룹 주변 상황을 잘 이야기 해준 기사가 있어 정리해 보았습니다.

롯데는 어쩌다 ‘지친 거인’이 됐나 [스페셜리포트]

출처 : 매일경제 배준희, 반진욱 기자님   입력 : 2024.11.08 14:43:31최종수정 : 2024.11.22 15:37:51

https://www.mk.co.kr/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24&no=866607 

 

롯데그룹 지배구조도

 

 

[ 기사요약 ]

롯데그룹 위기 진단과 주요 내용 요약

1. 롯데그룹 주요 위기 요인

  1. 주력 사업 부진
  2. 재무 부담 가중
    • 차입금 증가: 롯데케미칼 순차입금 6조 원, 이자비용 연 3788억 원.
    • 자산 매각으로 대응하지만 현금창출력 약화.
  3. 지배구조 문제
    • 한일 롯데의 복잡한 지배구조 → 통합 지주사 설립 지연.
    • 광윤사, 일본 롯데홀딩스, 호텔롯데를 통한 경영권 제약.
  4. 경영 쇄신 지연
    • 비상경영 체제 선언(2023년 8월) 후 구조조정 및 매각 속도감 부족.

 

2.돌파구 마련을 위한 주요 전략

  1. 사업 재편
    • 화학: 기초화학 비중 축소 →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제품으로 전환.
    • 유통: ‘타임빌라스’ 쇼핑몰 확대(2030년까지 7조 원 투자).
    • 구조조정: 부진 계열사 희망퇴직 및 비핵심 자산 매각.
  2. 지배구조 개편 및 승계 준비
    • 호텔롯데 상장 추진 → 일본계 지분 희석.
    • 신유열 전무, 바이오로직스 및 미래 성장 사업으로 승계 기반 마련.

3. 주요 인사 관심 포인트

  1. 부회장단 4인의 행보 관심.
    • 이동우 부회장: 비상경영 체제 주도했으나 구조조정 속도 미흡 평가.
    • 이영구 부회장: 롯데웰푸드 글로벌 확장 성과.
    • 김상현 부회장: 유통군 혁신 성과 기대.
    • 박현철 부회장: 롯데건설 유동성 위기 해결 노력과 행보.

4. 시장 및 재계 평가

  • 속도감 있는 구조조정 및 사업 재편이 절실하다는 평가.
  • 지배구조 개편과 자산 매각에서 실행력 부족 우려.
  •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버티기 전략" 지속 가능성.

결론

롯데그룹은 주력 사업 경쟁력 강화와 구조조정 가속화, 지배구조 개편 및 승계 정당성 확보가 핵심 과제. 실기(失期)를 줄이고 빠른 실행이 필요한 시점.

 

 

 

 

 

국내 재계 6위 기업의 선제적(?)행보가 중요할때 인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관심을 안가질수 없는것이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대기업의 숨소리가 경기의 지표를 쥐락펴락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루 빨리 불안한 부분들 해결되어 대한민국 경제 활동에 힘을 실어 주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