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요즘 국내 굴지의 기업 롯데그룹 이야기가 자주 들립니다. 국내적으로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것을 보면 롯데 이야기도positive한 소식보다는 그렇지 않은 소식이 많은 듯 해서 찾아 보았습니다.
물론 세계경제의 흐름상 롯데그룹만의 이야기가 아닌 이미 국내 굴지의 기업들은 군살빼기 작업에 들어가거나 수행중에 있음을 확인 할 수가 있었습니다. 참고기사 헤럴드경제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382214?ref=naver
이러한 상황에서 롯데그룹의 상황을 들여다 보았습니다.
롯데 그룹 주변 상황을 잘 이야기 해준 기사가 있어 정리해 보았습니다.
롯데는 어쩌다 ‘지친 거인’이 됐나 [스페셜리포트]
출처 : 매일경제 배준희, 반진욱 기자님 입력 : 2024.11.08 14:43:31최종수정 : 2024.11.22 15:37:51
https://www.mk.co.kr/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24&no=866607
[ 기사요약 ]
롯데그룹 위기 진단과 주요 내용 요약
1. 롯데그룹 주요 위기 요인
- 주력 사업 부진
- 유통: 백화점은 정체, 편의점(CU·GS25 격차 확대), 이커머스 롯데온 적자 지속.
- 화학: 롯데케미칼, 중국발 공급 과잉 및 원자재 비용 상승 → 2023년 영업손실 3477억 원.
이미지 출처 매일경제 :https://www.mk.co.kr/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23&no=630700롯데케미칼실적
- 재무 부담 가중
- 차입금 증가: 롯데케미칼 순차입금 6조 원, 이자비용 연 3788억 원.
- 자산 매각으로 대응하지만 현금창출력 약화.
- 지배구조 문제
- 한일 롯데의 복잡한 지배구조 → 통합 지주사 설립 지연.
- 광윤사, 일본 롯데홀딩스, 호텔롯데를 통한 경영권 제약.
- 경영 쇄신 지연
- 비상경영 체제 선언(2023년 8월) 후 구조조정 및 매각 속도감 부족.
2.돌파구 마련을 위한 주요 전략
- 사업 재편
- 화학: 기초화학 비중 축소 →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제품으로 전환.
- 유통: ‘타임빌라스’ 쇼핑몰 확대(2030년까지 7조 원 투자).
- 구조조정: 부진 계열사 희망퇴직 및 비핵심 자산 매각.
- 지배구조 개편 및 승계 준비
- 호텔롯데 상장 추진 → 일본계 지분 희석.
- 신유열 전무, 바이오로직스 및 미래 성장 사업으로 승계 기반 마련.
3. 주요 인사 관심 포인트
- 부회장단 4인의 행보 관심.
- 이동우 부회장: 비상경영 체제 주도했으나 구조조정 속도 미흡 평가.
- 이영구 부회장: 롯데웰푸드 글로벌 확장 성과.
- 김상현 부회장: 유통군 혁신 성과 기대.
- 박현철 부회장: 롯데건설 유동성 위기 해결 노력과 행보.
4. 시장 및 재계 평가
- 속도감 있는 구조조정 및 사업 재편이 절실하다는 평가.
- 지배구조 개편과 자산 매각에서 실행력 부족 우려.
-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버티기 전략" 지속 가능성.
결론
롯데그룹은 주력 사업 경쟁력 강화와 구조조정 가속화, 지배구조 개편 및 승계 정당성 확보가 핵심 과제. 실기(失期)를 줄이고 빠른 실행이 필요한 시점.
국내 재계 6위 기업의 선제적(?)행보가 중요할때 인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관심을 안가질수 없는것이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대기업의 숨소리가 경기의 지표를 쥐락펴락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루 빨리 불안한 부분들 해결되어 대한민국 경제 활동에 힘을 실어 주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저온화상, 제대로 알고 예방하자! (2) | 2025.01.18 |
---|---|
한국의 믹스커피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4) | 2025.01.17 |
치매방지 의약품이 상용화 되었을까? (3) | 2025.01.04 |
당뇨 초기(제2형 당뇨병 전단계 또는 초기)의 관리 방법은 혈당 조절 (0) | 2025.01.02 |
두피 일부분 지속적인 따끔거림 발생? (2) | 2024.11.26 |